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독일문화

독일 사람들은 친절할까?

300x250

독일 사람은 친절할까?

 

독일 정착을 계획하기 전까지 독일 사람들의 친절성에 대해 궁금해 한 적은 별로 없었던 같다. 남편은 친절하고, 호주에 살면서 만났던 수 많은 독일 사람들을 보며 나도 모르게 독일 사람들은 이럴 같다라는 의식을 심었나보다.

 

호주에 살면서 많은 독일 사람들과 어울렸었다. 일을 같이 했던 독일인도, 여행을 같이 했던, 그리고 공부를 같이 독일인들도 있었는데, 그때받은 인상은.. 딱히 없었다. 만큼 평범한, 국적만 다른 사람들이라는 느낌이었다. 국적이 다르기에 사고방식이 다를 수 밖에 없고, 생긴 것도,좋아하는 음식도 다른, 하지만 외에는 그들도 나도 타국 생활하는 외로운 외국인이었다

 

독일도 북쪽보다는 남쪽으로 내려가면 조금 덜하다고는 하나, 독일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첫인상은, 일단 잘 웃지 않는다. 뭔가 사는 게 너무 심각하다. 처음에는 그랬다. 그들이 이야기하는 것 뿐인데, 나는 싸우는 알았다. 마치 서울 사람들이 경상도 사람들 이야기하는 보면서 싸우는 알았다는 것 처럼.

 

편지를 써도,

 

"철수에게,

안녕, 요즘 코로나로 세상이 난리인데, 지내니?" 가 아니라

 

"철수에게,

내가 지난번에 빌려준 아직 못받아서 연락했어 “처럼. 처음이나 끝에 안부인사 같은 건 없다.

 

영어권에서도,

„Dear 철수,

How are you? “ 정도는 해주는데, 이게 없으니 준비되지 않았는데 뭔가 확 들어가고 확 들어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럼 서비스업에서는 어떨까?

크게 차이가 없다.

 

좋은 쪽으로 해석하면, 그들은 가식이 없는 것 같다. 웃기지 않은데 왜 억지로, 거기다가 굳이 내가 다른 사람을 위해서 웃어줘야 하나? 왜 내가 아닌 다른 사람 기분을 맞춰주려고 내가 해도 되지 않은 일을 하나, 설령 그것이 아주 작은 일일지라도? 쯤 되지 않을까 싶다.

 

한국은,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웃으면 복이 온다 등의 일상생활에서 웃음을 강조하는 속담도 많이 있는데, 독일에서는 웃는 얼굴에 침 뱉는다. 웃으면서 말해도 무표정으로 받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웃는다고 해서 „그냥“ 웃어주는 법도 없다. 같은 말을 무표정으로 하나 웃으면서 하나 오는 반응은 같은 경우가 더 많고, 오히려 웃으면 장난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이건 조심해야 할 것 같다. 한국 사람들이 „예의상 “ 웃어주는 것, 이런 문화 여기는 없다. 무안해서 웃거나, 어이없어서 웃는 등 한국에서는 꼭 웃겨야지만 웃는 것이 아닌데 그렇게 웃었다가 웃기지 않아 “라는“ 말을 몇 번 들었다. „나는 심각한데 너는 왜 웃니?“ 쯤 되는 것 같다.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독일 사람들은 과연 친절할까?

독일식 표현으로는 이렇게 말할 있을 같다.

독일 사람들과 친절함은 친한 친구가 아니에요. 😊

 

 

그럼에도 나는 더 많은 이유로 이 나라 독일이 좋다 :)

 

 

 

 

*공감 꾹과 광고 꾹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